본문 바로가기

HISTORY연혁

화학물질안전원 교육시스템이
걸어온길입니다.

  1. 2020.
    • 01/01청사이전(오송)
  2. 2014.
    • 01/24화학물질안전원 신설
  3. 2013.
    • 06/04「화학물질관리법」 공포(2015.1.1. 시행)
    • 07/19화학물질안전원 신설 결정(국가안전정책 조정회의)

ORGANIZATION조직도

환경부 조직도

  • 환경부

    • 책임운영기관 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
      • 한강유역 환경청 시흥 화학재난
        합동방재센터
      • 낙동강유역 환경청 울산 화학재난
        합동방재센터
      • 영산강유역 환경청 여수 화학재난
        합동방재센터
      • 금강유역 환경청 서산 화학재난
        합동방재센터
      • 전북지방 환경청 익산 화학재난
        합동방재센터
      • 대구지방 환경청 구미 화학재난
        합동방재센터
      • 원주지방 환경청 충주 화학재난
        합동방재센터

화학물질안전원 조직도

원장

  • 기획운영과
  • 사고대응총괄과

    화학사고 종합상황실

  • 사고예방심사1과
  • 사고예방심사2과

    화학안전제도개선TF팀

  • 유해성관리과
  • 화학사고조사팀
  • 교육훈련혁신팀
  • 화학물질등록평가팀

EDUCATION교육배경

  • 국내에서 최근 화학물질 사고로 국가와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국제적으로는 대량살상효과가 큰 화학물질을 이용한 테러가 발생
  • 구미 불화수소 유출사고(’12.9.27)이후, 화학물질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우려가 높아짐
  • 화학물질 유통의 증가와 신규 화학물질의 지속적인양산으로 대형화학사고 발생 가능성 농후
  • 화학물질 사고 시 초기대응이 미숙할 경우 인명ㆍ재산 및 치명적인 환경재난으로 확대될 우려가 커 현장 대응능력 역량강화 필요

EDUCATION교육배경

  1. 화학사고ㆍ테러로 부터국가와 국민의 재산 및 인명 보호

    • 화학사고ㆍ테러예방ㆍ대응 환경전문 인재양성
  2. 실무자의 완벽한사고예방ㆍ대응과 안전관리체계 확립

    • 전문ㆍ실무 능력 향상을 위한 역량강화 교육운영
    • 표준화된 교육ㆍ훈련 체계 마련
  3. 유해화학물질관리자의실무능력 배양을 통해 화학사고 사전예방

    • 화학물질 취급 담당자에 대한 화학사고 예방ㆍ대응 능력 향상 교육실시
    • 화학물질의 취급시설 관리법 및 특성에 따른 방제기법 습득 등

BASIC DIRECTION기본방향

  • 화학물질 관련법규의 이해와 현장실습 교육을 통해 사고예방ㆍ대응 전문가 양성
  • 화학테러 정보수집, 화학물질의 위험성 평가ㆍ분석ㆍ탐지 역량 강화
  • 화학사고 대응방법과 시나리오 적용으로 신속 정확한 판단을 통한 사고현장 대응능력 제고